2020-05-18
[bash] IP유효성 확인 스크립트
validate_IP(){
if [[ $1 =~ ^([0-9]{1,3}\.){3}[0-9]{1,3}$ ]]
then
for NUM in `sed 's/\./ /g' <<< $1`
do
if [ $NUM -ge 0 ] && [ $NUM -le 255 ] && [[ ! $NUM =~ ^0[0-9]{1,2}$ ]]
then
continue
else
echo "Invalid"
return 1
fi
done
echo "Valid"
return 0
else
echo "Invalid"
return 1
fi
}
if [[ $1 =~ ^([0-9]{1,3}\.){3}[0-9]{1,3}$ ]]
then
for NUM in `sed 's/\./ /g' <<< $1`
do
if [ $NUM -ge 0 ] && [ $NUM -le 255 ] && [[ ! $NUM =~ ^0[0-9]{1,2}$ ]]
then
continue
else
echo "Invalid"
return 1
fi
done
echo "Valid"
return 0
else
echo "Invalid"
return 1
fi
}
2020-05-15
랜하나로 vlan을 통해 라우팅 구현
https://openwrt.org/docs/guide-user/network/vlan/switch
3-Port 10/100 managed ethernet switch 802.1Q VLAN site:microchip.com
POSIX란
1003.1-2017 -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
--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(POSIX(R)) Base Specifications, Issue 7
ISO/IEC 9945 (POSIX)
https://www.iso.org/standard/50516.html
ISO / IEC / IEEE 9945 : 2008은 명령 해석기 (또는 "쉘") 및 소스 코드 수준에서 응용 프로그램 이식성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포함한 표준 운영 체제 인터페이스 및 환경을 정의합니다. ISO / IEC / IEEE 9945 : 2008은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와 시스템 구현 자 모두가 사용하도록 만들어졌으며 4 개의 주요 구성 요소 (각각 관련 볼륨)로 구성됩니다.
- 유틸리티 규약 및 C 언어 헤더 정의를 포함하여이 표준의 모든 볼륨에 공통적 인 일반 용어, 개념 및 인터페이스가 기본 정의 볼륨에 포함됩니다.
- 시스템 서비스 기능 및 서브 루틴에 대한 정의, C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언어 별 시스템 서비스, 이식성, 오류 처리 및 오류 복구를 포함한 기능 문제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볼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.
- 통역 서비스 ( "쉘")에 대한 표준 소스 코드 수준 인터페이스 및 "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공통 유틸리티 프로그램"에 대한 정의는 쉘 및 유틸리티 볼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.
- ISO / IEC / IEEE 9945 : 2008의 내용과 ISO / IEC / IEEE 9945 : 2008 개발자가 기능을 포함하거나 버린 이유에 대한 기록 정보가 포함 된 나머지 문서 구조에 적합하지 않은 확장 된 이론적 근거 이론적 (정보) 볼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.
다음 영역은 ISO / IEC / IEEE 9945 : 2008의 범위를 벗어납니다.
- 그래픽 인터페이스;
-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인터페이스;
- 레코드 I / O 고려 사항;
- 객체 또는 이진 코드 이식성;
- 시스템 구성 및 자원 가용성.
ISO / IEC / IEEE 9945 : 2008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 된 내부 구성 기법이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에게 중요한 외부 특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. 다양한 상용 응용 분야에 필요한 기능과 시설에 특히 중점을 둡니다.
2015-02-22
[OpenWrt] 라즈배리파이2 설치
OpenWrt 사이트의 지원device 중 raspberry pi 2가 지원되는것을 볼 수 있다.
해당 trunk의 revision은 r44403이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다운로드 받는다.
지원device에 BBB도 있으나 공식적인 지원은 아니다. 그래서 menuconfig에서 고를 수 없다.
같은 방법으로 atmel의 at91 samd5xpl 보드의 config도 있어서 간단히 빌드 할 수 있다.
$ sudo apt-get install build-essential asciidoc autoconf binutils bison bzip2 flex gawk gettext libncurses5-dev libz-dev patch unzip zlib1g-dev libssl-dev
라즈베리파이2가 적용된 Openwrt 소스
$ svn co -r 44403 svn://svn.openwrt.org/openwrt/trunk ./openwrt_rpi2
$ cd openwrt_rpi2
$ ./scripts/feeds update -a
$ ./scripts/feeds install -a
라즈배리2 고르고
$ make defconfig
$ make prereq
$ make
해당 trunk의 revision은 r44403이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다운로드 받는다.
지원device에 BBB도 있으나 공식적인 지원은 아니다. 그래서 menuconfig에서 고를 수 없다.
같은 방법으로 atmel의 at91 samd5xpl 보드의 config도 있어서 간단히 빌드 할 수 있다.
$ sudo apt-get install build-essential asciidoc autoconf binutils bison bzip2 flex gawk gettext libncurses5-dev libz-dev patch unzip zlib1g-dev libssl-dev
라즈베리파이2가 적용된 Openwrt 소스
$ svn co -r 44403 svn://svn.openwrt.org/openwrt/trunk ./openwrt_rpi2
$ cd openwrt_rpi2
$ ./scripts/feeds update -a
$ ./scripts/feeds install -a
라즈배리2 고르고
$ make menuconfig
$ make defconfig
$ make prereq
$ make
![]() |
atmel board |
![]() |
RPI 2 |
2015-02-17
칼라코딩
1
2
3
4
5
6
|
static CLI_command_t tCMD_VuCardIWRecord = {
.cmd_name = "cardinfo",
.cmd_func = CMD_VuCardIWRecord,
.cmd_help = "cardinfo ",
.mode = 0xff,
};
|
[ubuntu] tftp 서버 설정
$sudo apt-get install tftpd-hpa
서버가 실행되지 않았다면
sudo service tftpd-hpa start
/var/lib/tftpboot 을 기본으로 사용하게 된다.
/etc/default/tftpd-hpa 에 설정파일이 있다.
# /etc/default/tftpd-hpa
TFTP_USERNAME="tftp"
TFTP_DIRECTORY="/var/lib/tftpboot"
TFTP_ADDRESS="[::]:69"
TFTP_OPTIONS="--secure"
사용법 (시험)
tftp 192.168.10.50 -c get <file>
tftp 192.168.10.50 -c put <file>
에러 대책: Error code 1: File not found
/etc/default/tftpd-hpa 수정
TFTP_OPTIONS="--secure --create"
sudo service tftpd-hpa restart
에러 대책: Error code 0: Permission denied
sudo chmod a+w /var/lib/tftpboot
2014-09-30
[WINDOWS] windows에서 심볼릭 링크 만들기.
mklink /D "d:\linkname" "d:\originalDir"
내응용방식.
linkname이라는 디랙토리 링크 생성.
소스 인사이트로 linkname이라는 디랙토리의 소스 프로잭트 생성.
originalDirA,originalDirB,originalDirC 등 을 필요시마다 linkname으로 만들어 사용한다.
끝!
내응용방식.
linkname이라는 디랙토리 링크 생성.
소스 인사이트로 linkname이라는 디랙토리의 소스 프로잭트 생성.
originalDirA,originalDirB,originalDirC 등 을 필요시마다 linkname으로 만들어 사용한다.
끝!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
[siwg917] 공유기 mac 얻기, arp table에서 확인.
1. arp 요청함수. #include "lwip/netif.h" #include "lwip/ip4_addr.h" #include "lwip/etharp.h" #define ARP_RETRY...